
안녕하세요.
과연 신체활동이 많으면 건강할까요?
업무 중, 혹은 여가 시간의 신체활동이 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요?
이에 대해서 BJSM에 게재된 논문을 요약하겠습니다!
https://pubmed.ncbi.nlm.nih.gov/39255999/
Associations of occupational and leisure-time physical activity with all-cause mortality: a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meta-an
Our findings indicate that OPA may not result in the same beneficial health effects as LTPA.
pubmed.ncbi.nlm.nih.gov
논문 요약: 신체활동 패러독스 연구
논문 제목
Associations of occupational and leisure-time physical activity with all-cause mortality: an individual participant data meta-analysis
(직업적 신체활동과 여가 신체활동이 전체 사망률과의 연관성: 개별 참가자 데이터 메타분석)
연구 목적
- 신체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됨.
- 하지만, 직업적 신체활동(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, OPA)과 여가 신체활동(Leisure-Time Physical Activity, LTPA)의 건강 효과가 다를 수 있다는 '신체활동 패러독스(Physical Activity Paradox)'가 제기됨.
- 이 연구는 개별 참가자 데이터(IPD)를 활용한 메타분석을 통해 OPA와 LTPA가 전체 사망률(All-cause mortality)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조사함.
연구 방법
- 11개국 22개 연구에서 590,497명의 데이터를 수집(추적 기간 평균 23.1년).
- 코호트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Cox 생존분석과 랜덤 효과 모델을 이용해 분석.
- 주요 조정 변수: 여가 신체활동 수준, 체질량지수(BMI), 연령, 흡연, 교육 수준 등.
연구 결과
- 여가 신체활동(LTPA)과 사망률
- LTPA가 높은 사람일수록 전체 사망률이 낮았음.
- 특히, 중간 및 높은 수준의 LTPA를 가진 사람들은 사망 위험이 15~25% 감소.
- 직업적 신체활동(OPA)과 사망률
- 남성의 경우, 높은 OPA 수준이 오히려 사망률 증가와 연관됨.
- 저강도 OPA 대비 중간 수준 OPA: 사망 위험 5% 증가
- 저강도 OPA 대비 높은 수준 OPA: 사망 위험 12% 증가
- 여성의 경우, OPA와 사망률 사이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음.
- 남성의 경우, 높은 OPA 수준이 오히려 사망률 증가와 연관됨.
- 소득 및 교육 수준과의 관계
- 소득을 추가로 조정하면 OPA와 사망률 간의 연관성이 다소 약화됨(즉, 사회경제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).
-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 사이에서는 OPA와 사망률 간의 뚜렷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음.
결론 및 시사점
- 신체활동이 항상 건강에 좋은 것은 아님.
- LTPA는 사망률을 줄이는 반면, OPA는 남성에게 오히려 해로울 수 있음.
- 이는 OPA가 장시간 지속되며 회복 시간이 부족하고, 반복적이고 높은 신체적 부담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됨.
- 공중보건 메시지에서 "어떤 형태의 신체활동도 건강에 좋다"는 일반적인 접근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.
-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별도의 건강 관리 및 운동 지침이 필요할 수 있음.
이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를 사용했지만, 대부분의 데이터가 서구권 국가에서 수집되었고, 신체활동 측정이 자체 보고 방식(self-report)에 의존했다는 한계가 있음. 앞으로는 더 다양한 지역과 정밀한 측정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함.
핵심 요약
✅ LTPA(여가 신체활동)는 사망률을 낮춤
❌ OPA(직업적 신체활동)는 남성의 사망률을 높일 가능성이 있음
⚠️ 공중보건 정책은 신체활동의 질적 차이를 고려해야 함
'헬스 인생 > 헬스 최신 논문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otionrx] 스쿼트 무릎 모임 연구 요약 (0) | 2025.02.07 |
---|---|
[Thelancet] 요통의 예방과 치료 논문 요약 (2) | 2025.02.06 |
[ACSM] 햄스트링 부상 연구 논문 요약 (2) | 2025.02.04 |
[NSCA] 전신 운동 vs 분할 운동 논문 요약 (1) | 2025.02.04 |
[JBMT] 코어 안정성의 미신 논문 요약 (2) | 2025.02.03 |